병거행(兵車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15:56
본문
Download : 병거행(兵車行).hwp
부모처자가 달려가 서로 보내니... , 병거행(兵車行)인문사회레포트 ,
[전문 풀이]
수레 소리와 말 울음 소리가 몹시 시끄러운데
지나가는 사람이 모두 활과 화살을 허리에 찼도다.
갈 때는 마을 어른이 머리 싸는 것을 주더니
돌아오니 머리가 백발인데도 다시 변방 수자리로 보내는구나.
(7-12행 평생을 변방 수비에 바쳐야 하는 백성들의 참상)
변방에 흐르는 피가 바다를 이루는데도
변방을 개척하려는 황제의 뜻은 꺾일 줄 모르도다.
부모처자가 달려가 서로 보내니
흙먼지가 자욱이 일어나서 함양교를 보지 못하겠구나.
옷을 잡아당기고 발을 구르며 길을 막고 서서 우니
통곡하는 소리가 똑바로 올라가 하늘을 찌르는구나.
(1-6행 전쟁터에 나가는 병사들이 가족들과 눈물로 작별하는 모습)
길가에서 지나가는 사람에게 물으니
행인이 오직 대답하기를 점고(點考)하여 행군하는 일이 빈번하다고 한다. 형식…(To be continued )
다.
혹은 십오 세부터 북쪽 강에 가서 지키고
곧 나이 마흔에 이르러 서쪽으로 가서 농사를 짓는다. 평생을 전쟁에 나가 시달리는 남정네와 남편을 보내고 시달리는 아낙들의 구체적 삶을 歷史(역사)적 안목을 가지고 상상하며 이 시를 이해해야 한다.
(13-14행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변방 개척에 몰두하는 황제)
두보가 살았던 시대는 당의 국력이 쇠퇴하여 의적의 침입과 안녹산의 난을 비롯한 내란에 시달리던 때이다.
부모처자가 달려가 서로 보내니...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병거행(兵車行).hwp( 93 )
순서
설명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인문사회,레포트
[전문 풀이]
지나가는 사람이 모두 활과 화살을 허리에 찼도다. 특히, 전쟁으로 신음을 받고 있는 백성과 이를 아랑곳하지 않는 임금의 뜻이 대비됨으로써, 비참한 현실이 극적으로 묘사되고 있따
<참고> 두보의 문학관과 두보 문학의 의의
그의 시는 전란 시대의 어두운 사회상을 반영하여 사회악에 대한 풍자가 뛰어나며 만년의 작품은 애수에 찬 것이 특징이다. 전란의 비참한 상황과 약육강식의 세태에서 고통받는 백성들의 심정을 토로하고 있는 것이다.
병거행(兵車行)
수레 소리와 말 울음 소리가 몹시 시끄러운데
[전문 풀이]수레 소리와 말 울음 소리가 몹시 시끄러운데지나가는 사람이 모두 활과 화살을 허리에 찼도다. 두보는 이러한 당대 현실에 대한 슬픔과 전쟁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고달픈 삶을 다룬 시를 많이 쓰고 있따 이 작품은 전쟁에 나가는 군대의 행렬을 보고 전쟁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고뇌를 생각하며 그 슬픔을 노래한 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