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과 교육의 관계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0:42
본문
Download : 20021203153013_지식과_.hwp
지식 교육 지식과교육 오오크쇼트
․ 노철현, 지식의 형식의 정당화 : 인식론적 관점, 서울대학교 교육학 석사논문, 1998





일단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식은 concept(개념) 위주의 교과가 주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한다. 폴라니는 개인의 책임과 노력을 강조했지만 공부하기가 좋아서 스스로 하는 어린이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정보간의 유기성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는 나름대로의 기준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형식도야 이론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점점 전이가 일어나서 고차원적 사고가 가능해진다고 하는 것도 동의한다. 물론 현재 우리 나라의 상황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 아래에서 검인정 교과서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는 참고 자료(data)일 뿐이고 실제 학습 활동을 위해서 교사가 다양한 자료(data)와 정보를 재구성하고 있따 하지만 기준이 없이 막연하게 비슷한 것만 엮어 제시하는 실정이다. 어떻게 그들이 스스로 책임감을 가지고 노력하게 만들 수 있는가 그 강력한 동기를 어디서 끌어와야 하는가는 교사들의 영원한 숙제라고 생각한다. 셋째는 학습자 중심 교육, 수요자 중심 교육, 자기 주도적 학습의 선풍 속에서 교사가 어떤 방법으로 안내자 이상의 모델이 되어서 교사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첫째는 오오크쇼트의 말처럼 교사가 교과를 조직할 때 어떤 방법으로 조직하여야만 무기력한 정보들을 정보가 원래 가지고 있는 성격이 드러나는가에 대하여 고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지식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학생들 스스로가 노력하고 책임을 다하도록 유도하는가 하는 것이다.
1.서론
-더 논의하고 싶은 내용
설명
Download : 20021203153013_지식과_.hwp( 23 )
-지식의 형성의 주체에 대한 논의 : 폴라니와 오오크쇼트
지식과 교육의 관계에 대하여
2.본론
-지식의 형식의 정당화에 관한 논의 : 피터스와 오오크쇼트
순서
3.conclusion
․ 이홍우, 교육과정탐구, 박영사, 1994
지식 교육 지식과교육 오오크쇼트 / ․ T. W. 모아/정영호, 교육철학입문(Philosophy of education : an introduction), 문음사, 1985 ․ 이홍우, 교육과정탐구, 박영사, 1994 ․ Oakeshott/차미란, 학습과 교수(Learning and Teaching), 「교육진흥」1992년 봄, 여름호, 중앙교육진흥연구소 ․ 노철현, 지식의 형식의 정당화 : 인식론적 관점, 서울대학교 교육학 석사논문, 1998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Oakeshott/차미란, 학습과 교수(Learning and Teaching), 「교육진흥」1992년 봄, 여름호, 중앙교육진흥연구소
()
지식 교육 지식과교육 오오크쇼트 / ․ T. W. 모아/정영호, 교육철학입문(Philosophy of education : an introduction), 문음사, 1985
-지식과 교육에 관한 나의 의견
다. 다만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실제 내가 교사가 되어서 지식을 전달하는 입장이 되었을 때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