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 최치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4:57
본문
Download : 고운 최치원.hwp
하지만 그의 은거 연대는 분명히 밝힐 수가 없다.
그런데 「삼국사기」에서는 나중에 최치원을 추증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전에 우리 태조가 일어날 때 치원은 (태조가) 비상한 사람으…(투비컨티뉴드 )
최치원-불운한정치가시대의사상가
불운한 정치가 이자 사상가인 고운 최치원의 생애와 사상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三國史記」, 卷 46, 列傳第六, 崔致遠條 <致遠自西事大唐 東歸故國 皆遭亂世 屯蹇連 動輒得咎 自傷不偶 無復仕進意 逍遙自放 山林之下· 江海之濱 營臺榭植松竹 枕藉書史 嘯詠風月 若慶州南山· 剛州氷山· 陜州淸涼寺· 智異山雙溪寺· 合浦縣別墅 此皆遊焉之所 最後 帶家隱伽耶山海印寺 與母兄浮圖賢俊及定玄師 結爲道友 棲遲偃仰 以終老焉>
많은 세월이 지난 뒤, 고려 현종 11년(1020)에 왕은 고운을 내사령으로 추증하고 14년 태평(太平) 2년 임술(1022) 5월에 문창후(文昌侯)라는 시호를 추증하였다.최치원-불운한정치가시대의사상가 , 고운 최치원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불운한 정치가 이자 사상가인 고운 최치원의 생애와 사상에 대해 조사한 reference(자료)입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그가 천령군에서 바로 가야산으로 들어간 것이 아니고 풍류적 생활을 한 뒤 가야산 해인사에 식구들을 데리고 가 숨어 살다가 여생을 마쳤다고 추측된다된다.
Download : 고운 최치원.hwp( 24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고운 최치원
- 목 차 -
Ⅰ. 들어가며
Ⅱ. 최치원의 출생과 신분
Ⅲ. 唐으로의 유학
Ⅳ. 정치활동기
1. 在唐活動期 (868~884)
2. 국내 정치활동기
Ⅴ. 은둔기(隱遁期)
Ⅵ. 학술, 종교활동기
1. 사산비명(四山碑銘)
2. 계원필경(桂苑筆耕)
3.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4. 최치원의 사상관
Ⅶ. conclusion
고운은 결국 세상을 떠나 가야산에 은둔하기에 이른다.